7일 109회 광장음악회 열어
금남로 차없는 거리 행사 연계
5·18 다룬 오페라 ‘무등둥둥’
김지하·김남주 시가 대본으로
"거리 공연, 특별한 경험 선사"

시민들의 기억 속에 살아 숨 쉬는 5·18의 이야기가 거리에서 음악으로 되살아나 깊은 울림을 전한다.
클래식 음악 대중화에 앞장서온 공연단체 '꿈꾸는 예술'이 제109회 광장음악회를 통해 5·18민주화운동 45주년을 기념하는 특별한 오페라를 선보인다.
오는 7일 오후 6시, 광주 동구 금남로 '차 없는 거리'행사와 연계해 열리는 이번 광장음악회는 김선철 작곡가의 오페라 '무등둥둥'의 갈라 콘서트 형식으로 진행되며, 누구나 무료로 관람할 수 있다.
'꿈꾸는 예술'은 2006년 창단 이후 클래식의 생활화를 목표로 활동해온 공연단체로, 지금까지 광장음악회를 108회나 개최하며 거리와 광장에서 수준 높은 클래식 음악을 시민들과 나눠 왔다. 특히 문화소외지역을 찾아가는 공연과 애니메이션으로 해설하는 오페라 제작 등 다양한 활동으로 주목받아왔다.

'무등둥둥'은 김지하, 김남주, 김준태, 문병란 등 11명의 시인이 5·18을 주제로 쓴 시를 대본으로 구성한 작품이다.
공연은 오후 5시부터 1시간 동안 리허설이 진행되며, 본 공연은 오후 6시부터 7시 30분까지 이어진다. 공연은 광주시 동구청의 '차 없는 거리' 행사와 연계해 진행된다.
'무등둥둥'은 총 11곡으로 구성돼 있으며, 각 곡은 시와 음악이 결합된 형식으로 5·18의 아픔과 희망을 드라마틱하게 전달한다. 조태일의 '겨울소식'과 '풀씨', 이은봉의 '우금치 흙' 김지하의 '황톳길', 김준태의 '아! 광주여'와 '광주여 무등산이여', 문병란의 '어느 구두닦이 소년의 죽음'과 '광주여 영원하라' 등의 시가 아리아와 이중창, 삼중창, 사중창으로 불려진다. 마지막 합창곡은 '임을 위한 행진곡'으로, 시민들과 함께 부르며 마무리될 예정이다.
이번 무대에는 국내외에서 활발히 활동 중인 성악가들이 대거 참여한다. 어머니 역에는 소프라노 홍선희, 아버지 역에는 바리톤 조재경, 아들 역에는 테너 김백호, 딸 역에는 소프라노 서혜원이 출연한다. 또한 어린이 소년 역에는 초등학교 5학년생 최민휴가 출연해 감동을 더할 예정이다. 공연의 연출은 '꿈꾸는 예술'의 대표이자 광장음악회 단장인 정찬경이 맡았다.
이날 공연에는 특별히 전 광주시의회 의원이자 5·18민주화운동기록관 관장을 역임한 홍인화 씨가 이야기 손님으로 초대돼, 5·18과 관련된 생생한 증언과 해설을 들려주는 시간도 마련된다. 이는 단순한 음악 공연을 넘어 역사와 문화가 어우러지는 특별한 경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출을 맡은 정찬경 '꿈꾸는 예술' 대표는 "누구나 쉽고 즐겁게 클래식을 접할 수 있는 공연을 통해 도시 공간을 문화공간으로 변화시키고자 한다"며 "이번 '무등둥둥' 갈라 콘서트는 5·18 정신을 음악으로 계승하는 특별한 자리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임창균기자 lcg0518@mdilbo.com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문화, 여행, 공연 등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50